제례정보

  • 장례정보
  • 종교별 장례절차
  • 조문예절
  • 제사종류
  • 사후행정절차

Home>제례정보>장례정보

 

임종

이때 거처하던 방의 거울은 반드시 다른곳으로 옮겨야 한다. 임종하실 때가 되었다고 판단 되시면 가족되는 분들이 병자의 팔다리를 가볍게 주물러 드리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병자 몸의 기혈을 잘 통하게 해줌으로써, 병자가 운명하더라도 병자의 몸이 빨리 경직되지 않도록 함이다.

병자의 유언이있으면 침착한 마음으로 기록하거나 녹음해 둔다. 병자가 이 세상을 떠나기 전에 가장 보고 싶어하는 친족 친지가 있으면, 속히 연락하여 임종순간을 지켜볼 수 있도록 손을 써야한다.
병자가 숨을 거두면, 먼저 눈을 곱게 감도록 쓸어내리고 몸을 반듯하게 한다음, 손과 발을 매만져 가지런히 한다. 머리는 약간 높게 괴고, 깨끗한 솜으로 코와 귀를 막는다. 그리고는 얼굴과 발끝까지 흰 천으로 덮고, 병풍이 있으면 병풍으로 가린다.(흰 천이 없을 경우에는 홑이불로 덮어도 무방하다.)

임종하면 방을 차갑게 해야하므로 그 방의 보일러를 꺼야하고, 온돌방일 경우 불을때지 않아야 한다.

 
절차 및 순서
유언
병자가 가족들에게 남기는 교훈이나 재산 분배에 대한 말
다급할 때이므로 간략할수록 좋고, 가능하다면 자필이 좋으나 부득이한 경우 대필이나 녹음을 해둔다.
유언에 대해서는 존중하며 그의 뜻을 받아들어야 할 것이다.
 
임종
병자가 운명하는 때에 현족들이지켜보는 것을 말한다.
죽음에 가까웠다고 생각될 때는 우선 옷을 새것으로 갈아 입히고 사망시에 장례전까지 시체를 안치하기에 적당한 방으로 병자를 옮긴다.
 
수시
숨이 질 경이면 솜을 코, 입, 귀 등을 막는다.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팔과 발목을 베나 한지로 묶고, 시신을
시상(屍床)에 모시고 병풍이나 장막으로 가린다.
병풍 앞에 고인의 사진을 영정(影幀)이라고 하는데 촛불 을밝히고 향을 태운다.

※참고 : 두팔과 두손을 곱게 펴서 배위에 올려놓되 남자는 왼손을 여자는 오른 손을 위로 한다.

 
발상
초상(初喪)을 알리고 상례를 시작하는 절차.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근심하며 애도하되 통곡은 삼간다.
"謹弔"(근조)라는 등을 달아놓고, 대문에는 喪中, 喪家라 쓰인 네모난 종이를 붙여 초상을 알린다.
 
설전
돌아가신 분을 살아 계실때와 같이 모신다는 뜻.
전(奠)또는 포(脯), 젓갈 외에도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이나 꽃을 올려놓아도 무방하다.
염습(殮襲)이 끝날때까지 하루에 한번씩 드린다.
 
상제
고인의 배우자와 직계자손은 상제가 된다.
맏아들이나 맏손자는 주상(主喪)이 되고 복인(服人)의 범위는 8촌이내이다.
상주는 망인의 장남이 되는 것이 원칙이며, 장남이 사망했으면 장손이 상주가 되며, 장손이 없으면 차손이 승중(承中)하여 상주가 된다
차손도 없을 경우에는 근친자가 상례를 주관한다.
 
호상
주상을 대신하여 장례에 대한 모든 절차를 주관하는 사람.
친지나 친척중에 상례에 밝고 경험이 많은 사람으로 정한다.
호상은 장례에 관한 안내, 연락, 조객록(부의록), 사망진단서, 사망신고, 매장 허가신청, 허가신고증 등을 맡아서 처리할 수 있는 사람으로 한다.
 
장의사 결정(상조회사 대행)
장의사는 염습, 입관, 매장이나 화장등 장의 전반적인 상식이 있으므로 장례에 관한 모든 일을 대행 해준다.
장의사를 결정할 때는 이런 점들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처리한다.
사망진단서를 준비한다.(법의 또는 병원, 의원에서 하며 노환일 때는 인후증명도 가능하므로 거주지통장 반장에게 하면 된다.)
사고사일 경우에는 반드시 경찰에 신고하여 검사 지휘서를 받아야한다.
매장, 화장 신고시는 거주지 관할 동사무소에서 하되 사망진단서와 주민등록증을 첨부해야한다.

※ 참 고
장사날 결정(장일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망한 날로부터 3·5일 장을 한다.)
일진이 중상일(重喪日)인 경우를 피하여 행한다.
합장일 경우는 남좌여우(男左女右)로 한다.

 
부고
가정의례준칙에서는 인쇄물에 의한 개별고지는 금지되어 있다.
다만 구두(口頭)나 사신(社信)으로 알리는 것은 허용된다.
그러나 고례풍습에 따라 부고가 행해지고 있음이 현실이다.
부고를 발송할 때는 장일(葬日)과 장지(葬地)를 명확히 기록해야 한다.
 
염습
염습이란 시체를 깨끗이 닦고 수의(壽衣)를 입히는 일이다.
목욕물과 수건을 준비하고, 여러벌의 수의를 한번에 입힐 수 있도록 준비한다.
시신을 깨끗이 닦은 후 겹쳐진 옷을 아래서부터 웃옷의 순 으로 입힌다.
옷고름은 매지 않으며, 옷깃은 오른쪽으로 여며 산사람과 반대로 한다.
 
입관
염습이 끝나면 입관을 한다.
입관할 때는 시신과 관 벽 사이의 공간을 벽지나 마포 휴지 또는 톱밥등으로 꼭꼭 채워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홑이불은 덮고 천판을 덮어 은정을 박는다.
관 위에는 "職銜(직함) 本貫(본관) ○○○(이름)의 널" 여자의 관에는 "孺人(유인) 本貫(본관) ○○氏의 널"이라는 관상명정(棺上銘旌)을 꼭써둔다.
입관이 끝나면 관 밑에 나무토막을 깔고 안치한 다음 관보로 덮고 결관(結棺)해 두는데 결관바(외울베)를 사용한다.
관(棺)은 병풍으로 가려둔다.
 
성복
성복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이다.
성복을 한 후에 문상을 받는다.
현대의 상복은 전통상복인 굴건제복을 입지 않고, 흰색이 나 검정색의 한복, 양복을 입는 경우도 있다. 부득이한 경우 평상복을 입을 수도 있다.
왼쪽 가슴에는 상장이나 흔히 꽃을 달고 머리에는 두건을 쓴다. 신발은 흰고무신 또는 짚신(상주), 양복에는 검정색 구두, 흰색 치마저고리에는 흰색 고무신을 신는다.
상장은 왼쪽 가슴에 달고, 상장 대신 흰색 꽃을 달 수도 있다.
상장을 다는 기간은 탈상까지이다.
 
발인
발인은 영구가 집을 떠나는 절차이다.
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를 올리는데 이것을 발인제라 하고 사회적 명사인 경우 영결식 을 치루기도 한다.
 
발인제 제물(發靷祭 祭物)
노제 제물(路祭 祭物)
향, 양초, 술, 명태포 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
(가풍에 따라 귤, 수박, 토마토 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생선 3마리정도, 돼지고기(덩어리), 육적(고기전), 어적(생선전), 적(두부전), 밥대신 떡을 사용...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음.
향, 양초, 술, 명태포 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
(가풍에 따라 귤, 수박,토마토 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생선 3마리정도, 돼지고기(덩어리), 육적(고기전), 어적(생선전), 소적(두부전), 밥대신 떡을 사용...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음.
 
운구
장의차(葬儀車)를 이용할 때 상제(喪制)는 영구를 차에 싣는 것을 지켜본다.
승차때는 영정, 명정, 상제, 조객의 순으로 오른다.
상여(喪輿)를 이용할 때는 영정, 명정, 영구, 상제, 조객의 순으로 행렬을 지어간다.
관습으로 명정(銘旌)을 선도(先導)로 공포(功布), 만장(輓章), 상여(喪輿)와 배행원(陪行員) 그리고 영구(靈柩)와 상인(喪人) 과 조객(弔客)의 순서로 행렬을 지어간다.
 
하관
하관이란 광중(壙中)에 관을 넣는 것을 말한다.
관을 놓을 때는 좌향(坐向)을 맞춘 다음 수평이 되게 한다.
관 위에는 명정을 덮고 횡대(橫帶)를 차례로 걸친다.
상주는 '취토(取土)'를 세 번 외치면서 관 위에 흙을 세 번 뿌린다.
 
개토/참파 제물(開土/塹破 祭物)
산신제 제물(山神祭 祭物)
향, 양초, 술, 명태포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
(가풍에 따라 귤, 수박, 토마토 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향, 양초, 술, 명태포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
(가풍에 따라 귤, 수박, 토마토 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성분제
상주의 취토 후에 관을 덮는다.
석회와 흙을 섞고 물을 끼얹어 빨리 굳게 한다.
평토를 한 다음 흙을 둥글게 쌓아올려 봉분을 만들고 잔디 를 입힌다.
성분때는 지석(誌石)을 묻는데, 세월이 흐르거나 천재지변으 로 허물어졌을 때
주인이 누구인지 알기 위함이다.
제주축(祭主祝) - 일명 평토제축 ( 일명 평토제추축)
화장시 위령제(慰靈祭)를 화장장(火葬場)에서 영좌를 모시고 간소하게 제수를
차린 뒤 고인의 명복을 비는 제사를 지낸다.
 
평토제 제물 (平土祭 祭物)
위령제 제물 (慰靈祭 祭物)
향, 양초, 술, 명태포 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가풍에 따라 귤, 수박, 토마토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밥, 탕, 나물은 제외
(보통 떡을 사용,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음)
향, 양초, 술, 명태포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
(가풍에 따라 귤, 수박, 토마토 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우제/삼우제
우제란 신주(神主)를 위안시키는 제이며,초우(初虞)는 장일(葬日) 당일 집에 돌아와 지내는 제사 (祭祀)이다.
재우(再虞)는 장일 이튿날 아침에 지내는 제사이다.
삼우(三憂)는 묘소(墓所)에 가서 묘의 성분(成墳)상태를 살펴보고 간소한 제수를 진설하 여 제를 올린 다음 묘의 우측, 묘 앞에서 보면 좌측 약 3족 정도 앞으로 나와 10cm 깊이로 땅을 파서 혼백상자를 묻어 두고 돌아온다.
이후에는 지방, 신위를 모신다.
 
우제/삼우제 제물(虞祭/三虞祭 祭物)
향, 양초, 술, 명태포 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 유과, 당과, 다식류 (가풍에 따라 귤, 수박, 토마토 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생선 3마리 정도, 돼지고기(덩어리), 육적(고기전), 어적(생선전), 소적(두부전), 밥, 국, 삼색나물(숙주나물, 콩나물, 무나물, 기타..), 전, 육탕(육류), 소탕(두부류), 어탕(어패류), 간장, 식혜....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음 (일반 기제사 음식을 준비하면 된다.
 
탈상
상기(喪期)가 끝나 복(服)을 벗는 절차이다.
탈상은 부모(父母),조부모(祖父母),배우자(配偶者)의 경우 사망날로부터 100일까지이고, 그 외의 사람도 장례일(葬禮日)까지이다.
탈상때로 탈상제를 올리는데, 제사의 규모와 방법도 기제에 준한다.
 
우탈상제 제물 (脫喪祭 祭物)
향, 양초, 술, 명태포 1마리, 대추, 밤, 감, 배, 사과 (가풍에 따라 귤, 수박, 토마토 등을 진설하는 경우도 있음, 가풍에 따라 차이가 있음).밥, 국 또는 떡을 준비.고인의 한복이나 양복,양장 한 벌

강원도공무원상조서비스  사업자등록번호 : 345-97-00091  대표 : 심광선  Email : simgas@hanmail.net 대표번호 : 033-262-4119  팩스 : 033-261-4119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종자리로 331-32   Copyrightⓒ 2007-2015 강원도 공무원 상조서비스. All Rights Reserved.